고령인
70세 고개 넘으면, 건강 관리법 완전히 새로
배워라.
초 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에서는 최근 노인을 두 단계로
구분하려는 시도가
한창이다. 65~74세를 '준(準)고령인'이라
하고, 75세 이상을 '고령인'으로 하자는
내용이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전문가들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75세를 기준으로 제안한다. 일산 백병원 가정의학과
양윤준 교수는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75세 이후로
신체 기능이
급격히 떨어지고, 80세 부터는 앓는 질환이 갑자기
늘어난다"며 "75세 전후로 신체 상태와 건강 관리법이 확연히
다르다"고 말했다.
◇ 혈압ㆍ혈당 관리, 75세 이후 '느슨하게'
65~74세 노인은
혈압ㆍ혈당 목표를 중장년층과 비슷한 수준
으로 강하게 잡는다. 체중 감량ㆍ운동 역시 강도 높게 하도록
권장한다.
반면 75세 이상은 느슨하게 관리하도록 한다. 혈당 수치보다는
저혈당 등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이
우선이다.
미국 당뇨병 학회 가이드 라인에 따르면, 당화 혈색소(3개월간
혈당 조절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정상 6.5% 이하)를
▲건강한 노인은 6.5~7.0%
▲쇠약한 노인은 8.5% 이하
▲매우 쇠약한 노인은
9.0% 이하를
목표로 삼는다.
분당 서울대 병원 내분비내과 임수 교수는
- "집안일ㆍ목욕 같은 일상 생활을 혼자서 무리 없이 한다면
건강한 노인
- 누군가의 도움이 약간 필요하면 쇠약한 노인
- 혼자서는
불가능하면 매우 쇠약한 노인으로 구분한다"
면서 "일상 생활 수행 능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나이가 75세
전후"라고
말했다.
비교적 젊고 건강한 75세 미만 노인은 살을 빼고 과식을 피해야
하지만, 고령이면서 쇠약해진 75세 이상 노인은 고기 등 단백질을
되도록 많이 먹으면서 체중이 줄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 고혈압도 느슨하게
고령 환자의 적절한 목표 혈압에 대한 결론은 아직 확실히 나지
않았지만, 진료 현장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목표 혈압을 높게
정하고 있다.
- 65~74세는140/90(㎜Hg)미만,
- 75세 이상은 150/90 또는
160/100 미만
으로 관리하는 식이다.
서울시 보라매 병원 가정의학과 오범조 교수는 "고령 환자의
혈압을 너무 강하게 관리하면, 저혈압 등 부작용으로 더 위험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콜레스테롤 - 나이
들어선 적절히 높게
이상 지질혈증의 경우 고령일수록 되려 유병률이 낮다. 2016년
국민 건강 영양 조사를 보면, 60~69세의 이상 지질혈증 환자
비율은 전체의 37.6%지만, 70세 이상에선 23.9%다.
섭취하는 음식이
바뀌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 입맛이 바뀌고,
치아가 나빠져 고기 등 기름진 음식을 꺼린다.
75세 이후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떨어진다고 안심해선 안 된다.
오히려 75세 이후엔 콜레스테롤 수치를 적절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콜레스테롤은 혈관 벽의 주요 재료다. 너무
줄어들면 혈관 벽이 약해져
뇌졸중ㆍ심근경색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호르몬의 주요 재료이기도 하다. 나이 들어
각종 호르몬의 분비량이 감소한 상태에서 콜레스테롤 섭취마저
줄어 들면, 신체 균형이 더 빠르게 무너진다.
◇ 나이
들수록 과 체중일 때 치매 위험 낮아져
이러한 이유로 의사들은 75세 이후 부터는 고기·과일 등을
충분히 먹으라고 권장하고 있다.
75세 미만은 체중이 적을수록, 75세 이상은 약간 과체중이어야
사망률이 낮다.
임수 교수는 "75세 이후의 과 체중은 신체 기능 저하로부터
일종의 완충재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그는 "체질량지수(BMI)
기준 23~25가 적당하다"고 말했다.
체중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도 75세를 전후로 확연히 다르다.
75세 미만에선 과체중ㆍ비만이, 75세 이후론 저 체중이 치매
위험을
높인다.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노인 68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60~69세의 경우 비만일 때 치매 위험이 정상 체중 보다
70% 높았지만, 70세 이상에선 오히려 3%, 80세 이상에서는
비만일 때 치매 위험이 2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65~74세는 팔ㆍ어깨 부상, 75세 이상
다리ㆍ고관절
골절 주의
낙상(落傷)을 입더라도 65~74세는 손목ㆍ팔ㆍ어깨 처럼
상체에 부상이 집중된다. 75세 이상은 다리ㆍ고관절 골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어깨 관절
치환술을 받은 노인은 65~74세가 33121명, 75세 이상이
22621명이었다.
반면 고관절 치환술은 65~74세가 5287명,
75세 이상이 13532명이었다.
양윤준 교수는
"75세 이상은 근육량이 더 적고, 반응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넘어지면 손을 짚어 몸을 보호하지 못하고,
엉덩방아를 찧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나이 들수록
골다공증이 더욱 심해져 같은 충격이라도
골절로 이어지는
경우가 더 많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암은 75~80세에 발병률이 가장 높다. 그러나
75세
이전에 많이 발생하는 암도 있다. 여성의 유방암·갑상선암이다.
국립암센터 김열 암
관리사업부장은 "이유는 모르지만, 한국ㆍ
일본 등 동 아시아에선 40~60대 젊은 유방암 환자가 많다"고
말했다.
'취미ㆍ생활 > 건강ㆍ미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뱃살 빼는법 (남재현) {동영상} (0) | 2019.07.14 |
---|---|
[운동] 전신 운동 15 (0) | 2019.07.05 |
[운동] 소화불량 해소 운동 (0) | 2019.06.26 |
[운동] 혈관 회춘 운동 (0) | 2019.06.10 |
[운동] 어깨 결림 해소 운동 (0) | 2019.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