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학과 풍자의 대가 김홍도...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의 하나인 씨름도를
보면 그가 얼마나 유머와 재치에 탁월한 사람이었는가를 금방 깨닫게 된다.
김홍도가 살았던 그 시대에도 우리나라 어르신들은 씨름구경을 썩 즐겼었나
보다.
화면 가운데에 안간힘을 쓰며 씨름을 하는 두 씨름꾼을 자세히 보면 왼발을
든 쪽이 어쩐지 위태위태하다. 그림 아래쪽과 오른편에 앉아있는 사람들은
이제 승리는 따논 당상이라는 듯 몸을 뒤로 젖인채 입이 귀에 걸렸고, 그림
왼쪽 편에서 응원을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씨무룩하고 안타까운 표정으로
허탈하게 앉아있다.
그림의 아래쪽 부분에는 씨름의 승패에 전혀 무관심한 표정으로 두 씨름꾼
들에게 등을 돌린채 엿을 팔고있는 엿장수가 보이고, 씨름꾼의 경기 상황에
따라 울고 웃는 관객들의 엇갈린 반응이 마치 마당놀이 한 대목을 화폭 안에
그대로 옮겨다 놓은 듯 긴장감 넘친다.
또한 그림의 오른편 아래쪽에 앉아있는 남자의 오른손과 왼손의 위치가
어쩐지 불안전하다. 자세히 살펴보니 그 남자의 오른손과 왼손이 뒤바뀌어
있는 것이 아닌가?
이렇듯 김홍도는 자기가 그린 그림속 인물들의 손이나 발 모양을 종종
바꿔 그리곤 했다는데 이는 바로 자신의 그림을 보는 사람들에게 숨은
그림 찾기 처럼 즐거움을 주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본래 이 씨름도는 스물 하고도 다섯 장으로 된 '풍속화첩'에 들어있는
그림 중의 하나로 김홍도는 이 화첩 속의 다른 그림에서도 사람들의 손
이나 발을 가끔씩 바꿔 그리면서, 뒤바뀐 손과 발의 위치를 어렵게 찾아
내곤 환호성을 지르며 즐거워할 사람들의 환한 얼굴을 떠올리며 홀로
미소 지었으리라.
김홍도의 풍속화를 보면 마치 플롯이 잘 짜여진 연극 한 편을 직접
본듯 하다. 등장 인물의 표정과 감정이 생생하게 살아있을 뿐 아니라,
주변 상황과도 긴밀하게 연결돼 연극을 감상하는 우리 스스로가 어느새
그림 속의 배경이 되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 서당도는 훈장님 앞에서 우는 아이를 중심으로 그 아이를 바라보는 학동
들과 훈장님의 각기 다른 표정과 몸짓이 압권이라 할 수 있겠다. 훈장님께서
회초리를 들지 않으셨는 데도 무엇이 저리 서러워 아이는 눈물을 훔치고 있는
것일까? 아홉명 학동들의 표정은 물론 머리 모습까지도 한 명 한 명 세밀하게
담아낸 화가의 재능과 재치가 정말 놀라울 뿐이다.
가슴을 다 드러내 놓고 일하는 여인과 아이를 업은채 음식을 담는 여인,
그릇을 기우뚱 기울여 가며 바닥에 있는 음식을 싹싹 쓸어먹고 있는
장사꾼의 모습이 왠지 고단하고 서글프게 느껴진다.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첩' 중 으뜸으로 뽑히는 이 춤추는 소년은 풍속화적 성격
이나 구성, 필력, 음악적 요소 등 어느 것 하나 부족함이 없는 최고의 걸작으로
알려져 있다. 풍각장이들의 섬세한 움직임과 표정 묘사는 얼쑤 얼쑤 어깨를
들썩이게 하고, 춤을 추는 소년의 춤사위는 금방이라도 하늘을 향해 날아오를 듯
흥겹기만 하다.
[명경대]
[죽서루]
[봄맞아 지저귀는 까치]
[황묘농접도]
[해탐노화도]
[나장월모송명사]
[나룻배]
[명호도]
[유응교]
[금강사군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