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한국 먹여 살릴 세계 1등 기술
지식경제부 산하 산업기술 연구회가 앞으로 10년간 한국을
먹여 살릴 최고 수준의 기술 14가지를 발표했다.
산업기술 연구회 산하 7개 출연 연구 기관은 매년 ‘세계 1등
산업기술 연구회 산하 7개 출연 연구 기관은 매년 ‘세계 1등
연구 과제’를 지정받아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내놓고 있다.
이 중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는 기술은 8가지다.
- ‘에코알루미늄·에코마그네슘’ (한국 생산기술 연구원)
- ‘해조류·셀룰로스 등을 이용한 연료 생산 기술’ (한국 생산기술 연구원),
- ‘100배 빠른 광 인터넷 기술’ (한국 전자통신 연구원),
- ‘세상에서 가장 긴 콘크리트 교량 기술’ (한국 건설기술 연구원),
- ‘콘크리트 발열촉진양생 기술’ (한국 철도기술 연구원)
- ‘세상에서 가장 긴 콘크리트 교량 기술’ (한국 건설기술 연구원),
- ‘콘크리트 발열촉진양생 기술’ (한국 철도기술 연구원)
- ‘ 저심도 도시 철도 시스템 기술’ (한국 철도기술 연구원)
- ‘초경량 유리 섬유 복합 소재 전동차 대차 프레임’ (한국 철도기술 연구원),
-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체 응용 연구’ (한국화학 연구원)다.
-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체 응용 연구’ (한국화학 연구원)다.
이 8가지 기술을 자세히 살펴보자.
▲ 에코마그네슘을 만들고 있는 한국 생산기술 연구원 연구진.
한국 생산기술 연구원이 개발한 ‘에코마그네슘’과 ‘에코알루미늄’은
강철보다 6배 단단하고 무게는 1/4 밖에 되지 않는 신 소재다. 이
한국 생산기술 연구원이 개발한 ‘에코마그네슘’과 ‘에코알루미늄’은
강철보다 6배 단단하고 무게는 1/4 밖에 되지 않는 신 소재다. 이
정도면 비행기 동체 표면에도 쓰일 수 있다.
마그네슘과 알루미늄은 가볍지만 열에 약하고 강도가 낮아 제조
마그네슘과 알루미늄은 가볍지만 열에 약하고 강도가 낮아 제조
공정이 까다로운 것이 단점이다. 불안정한 상태에선 폭발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육불화황(SF6)ㆍ이산화황(SO₂)
가스를 이용해 폭발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육불화황 가스는 이산화탄소에 비해 지구 온난화 효과가
가스를 이용해 폭발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육불화황 가스는 이산화탄소에 비해 지구 온난화 효과가
24000배나 높은 수퍼 온실가스이며, 이산화황은 인체에 유해하고
쇠로 만들어진 장비를 부식시킨다.
한국 생산기술 연구원은 폭발 위험성을 없앤 특수 합금으로 마그
한국 생산기술 연구원은 폭발 위험성을 없앤 특수 합금으로 마그
네슘을 만들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기존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등 칼슘계 화합물을 첨가해 표면에 치밀하고 얇은 보호
막을 형성함으로써 산화와 발화를 방지했다. 이 마그네슘 공법은
온실 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가공이 가능해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모두 실현한 획기적인 기술이다.
강도가 약한 알루미늄은 그동안 자동차 트렁크나 후드에 부분적
강도가 약한 알루미늄은 그동안 자동차 트렁크나 후드에 부분적
으로만 사용됐고, 마그네슘은 노트북 컴퓨터나 휴대 전화 케이스ㆍ
자동차 핸들에만 사용돼 왔다.
그런데 현재 국내 업체뿐 아니라 미국의 보잉 및 독일의 주요
자동차 회사에서 이 기술을 이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이로써
15년간 약 600억원의 로열티를 확보한 상태다.
세계 알루미늄 소재 시장은 약 200조원 규모. 에코알루미늄 기술이
상용화 되면, 관련 기업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로열티만 연간 수조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또 한국 생산기술 연구원에서는 ‘해조류ㆍ셀룰로스 등을 이용한 연료
생산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셀룰로스나 해조류를 사용해 궁극적
으로 석유나 석탄 등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식량 자원을 활용해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던 기술을
뿐만 아니라 식량 자원을 활용해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던 기술을
뛰어 넘는다. 지금까지 석유를 대체하는 기술로는 사탕수수의 당이나
옥수수의 전분과 같은 식량 자원을 이용하는 1세대 기술이 주를 이루
었다. 1세대 기술은 한계에 달한 식량 자원을 활용한다는 게 단점이었다.
2세대 기술은 셀룰로스, 3세대 기술은 해조류를 사용한다. 해조류가
2세대 기술은 셀룰로스, 3세대 기술은 해조류를 사용한다. 해조류가
주목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1ㆍ2세대 원료들 처럼 에탄올로의 변환이
가능한 셀룰로스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셀룰로스는 2개 이상의 당 성분이 결합된 구조의 다당류 섬유소다.
이 당 사이의 결합을 인위적으로 끊어 단당류인 글루코스로 전환시킨뒤
발효 미생물을 넣어 발효시키면 에탄올이 만들어진다.
해조류는 또 인류의 식량 자원에 대한 피해 없이 바이오에탄올 생산이
셀룰로스는 2개 이상의 당 성분이 결합된 구조의 다당류 섬유소다.
이 당 사이의 결합을 인위적으로 끊어 단당류인 글루코스로 전환시킨뒤
발효 미생물을 넣어 발효시키면 에탄올이 만들어진다.
해조류는 또 인류의 식량 자원에 대한 피해 없이 바이오에탄올 생산이
가능하다. 미역ㆍ김ㆍ다시마ㆍ파래 등 식용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도
바다에는 무수히 많은 종류의 해조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해조류 바이오에탄올이 상용화 돼도 미역 값이 오르는 일은 없을 것
해조류 바이오에탄올이 상용화 돼도 미역 값이 오르는 일은 없을 것
이라는 얘기다. 해조류의 빠른 성장성은 1ㆍ2세대 원료들이 따라올 수
없는 최고의 메리트다.
한국 생산기술 연구원에서는 해조류로 부터 추출한 다당류 ‘아가’를
한국 생산기술 연구원에서는 해조류로 부터 추출한 다당류 ‘아가’를
출발 물질로 하여 연료를 생산해 내기 위한 휘발성 물질 HMF
(5-hydroxymethyl-2-furfural)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HMF는
에탄올보다 40%가량 에너지 밀도가 더 높은 바이오 연료다.
현재 이 기술은 국내 기술 이전을 통해 2억5000만원가량의 로열티를
확보한 상태다.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은 산업적 수요와 잠재력이
현재 이 기술은 국내 기술 이전을 통해 2억5000만원가량의 로열티를
확보한 상태다.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은 산업적 수요와 잠재력이
큰 만큼 관련 산업의 지대한 관심을 받기 마련이다.
한국 생산기술 연구원이 원천 기술을 확보한 만큼 상품화와 양산
체계만 갖추면, 세계 시장을 선도해 경제적으로 엄청난 파급 효과를
가져 올것이라는 전망이다.
한국 전자통신 연구원(ETRI)은 ‘100배 빠른 광 인터넷 기술’을 개발했다.
전용 광(光) 파장을 이용해 말 그대로 기존보다 100배 빠른 초고속 인터넷
전용 광(光) 파장을 이용해 말 그대로 기존보다 100배 빠른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현재 보급된 인터넷은 초당 100Mb(메가비트) 속도가 일반적이다. 신 기술은
현재 보급된 인터넷은 초당 100Mb(메가비트) 속도가 일반적이다. 신 기술은
현재 인터넷보다 정확히 100배 빠른 초당 10Gb(기가비트)로 콘텐츠를 송수신
한다. 이는 5GB(기가바이트)급 영화 한 편을 다운로드 받는데 4초면 충분한
속도라는 얘기다. 현재 기술로는 6분40초 이상 걸린다. 그야말로 꿈의 속도다.
보통 초고속 인터넷은 광 섬유를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데 레이저를 이용한다.
기존 인터넷은 레이저 하나를 쏜 뒤 여러 가입자가 시차를 두고 나눠 쓰는 방식
보통 초고속 인터넷은 광 섬유를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데 레이저를 이용한다.
기존 인터넷은 레이저 하나를 쏜 뒤 여러 가입자가 시차를 두고 나눠 쓰는 방식
이었다. 그래서 한꺼번에 정보가 몰리면 병목 현상이 나타나기 일쑤였다. 하지만
신형 기술은 레이저를 여러 개 쏴서 소비자에게 일대일로 정보가 전송되도록
했다. 도로에 막히는 구간이 없으니 뻥 뚫리는 것과 같은 이치다.
ETRI가 개발한 기술은 기존 광 전송망의 광 섬유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ETRI가 개발한 기술은 기존 광 전송망의 광 섬유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의 광 통신 시스템을 교체하지 않고, 몇 가지 부품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속도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광 전송망 속도가 올라가면 도시 또는 국가 전체의 통신 효율이 높아진다.
ETRI는 SK 브로드밴드나 KT 등 통신 기업들과 협의를 통해 이르면 2013년
광 전송망 속도가 올라가면 도시 또는 국가 전체의 통신 효율이 높아진다.
ETRI는 SK 브로드밴드나 KT 등 통신 기업들과 협의를 통해 이르면 2013년
말쯤 상용화할 된다. 이 신기술이 보급되면 2020년까지 1만2000명의 일 자리가
생기고, 4조3000억원 규모의 생산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 강도를 실험 중인 초 고성능 콘크리트(좌)와 콘크리트 사장교인 인천대교.
한국 건설기술 연구원은 ‘세계에서 가장 긴 콘크리트 교량 기술(수퍼브리지200)’을
개발했다. 이는 초 고성능 콘크리트를 사장교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
사장교는 탑에서 비스듬히 친 케이블로 거더(girder·건물 구조물을 떠받치는 보)를
매단 다리로, 경간(徑間) 150~500m 정도 범위의 도로교에 흔히 쓰인다. 한국에서는
올림픽대교ㆍ서해대교ㆍ인천대교ㆍ진도대교ㆍ돌산대교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한강 다리를 교각 없이 놓을 수 있다. 현재 콘크리트 사장교의
이 기술을 이용하면 한강 다리를 교각 없이 놓을 수 있다. 현재 콘크리트 사장교의
교각과 교각 사이의 거리는 세계 최고 수준이 530m 정도인데, 한국 건설기술 연구원은
이것을 깨고 교각 간 한계 거리를 세계 최대인 1000m까지 확장시켰다. 이 기술은
난도가 매우 높아 선진국에서도 개발되지 않은 기술이다.
공사비를 20%나 절감하면서 교량 수명은 200년까지 확보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공사비를 20%나 절감하면서 교량 수명은 200년까지 확보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미관상으로도 뛰어난 설계가 가능하다. 세계 최고의 경제성을 가진 이 초 고성능
콘크리트는 프랑스ㆍ미국 등 경쟁국을 제치고 해외 입찰을 따내기에 충분하다.
한국 건설기술 연구원은 기술 이전을 희망하는 국내 건설 업체와 함께 베트남과
한국 건설기술 연구원은 기술 이전을 희망하는 국내 건설 업체와 함께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동남 아시아로 진출해 섬과 섬 사이를 잇는 교량을 건설할 계획이다.
앞으로 10년간 적게는 48조원, 많게는 150조원 정도 되는 해외 교량 건설 시장
앞으로 10년간 적게는 48조원, 많게는 150조원 정도 되는 해외 교량 건설 시장
수주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취미ㆍ생활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 폭염을 이기는 방법 (홍혜걸) (0) | 2017.07.22 |
---|---|
[생활정보] 옷 세탁시 참고 사항 (0) | 2016.10.17 |
[생활정보]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해설 (0) | 2016.09.17 |
[생활] 생활 상식 10 (0) | 2016.09.09 |
[정보] 부자가 될수있는 방법 (이영권 교수) (0) | 2016.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