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수술
이윤택 교수 (이대서울병원 외과)
"복강경을 활용한 위암 수술이 늘고 있습니다. 위암 수술의 90%
정도를 복강경으로 진행하기도 하죠."
이윤택 이대서울병원 외과 교수는 “수술 기법이 발전하면서 최근
에는 진행성 위암 환자도 복강경으로 많이 수술한다. 상처 크기
보다는 재발하지 않도록 깨끗하게 수술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숙련된 의료진을 찾아 진료 받아야 한다”고 했다.
이 교수는 복강경ㆍ로봇 등을 활용해 위암을 치료하는 외과 의사다.
위암은 국내서 발생률 1위 암이다. 세계적으로는 폐암ㆍ간암에 이어
3위다. 한국은 다른 나라 보다 위암 환자 비율이 높은 편이다. 짜게
먹는 식습관 때문이다. 이 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명시
하고 있지만, 단순히 짠 음식 보다는 염장 음식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젓갈류ㆍ김치 등을 많이 먹는 것이 위암 발병률이 높은 원인 중 하나다”
라고 했다.
국이나 찌개를 여럿이 함께 떠 먹는 식습관도 문제다. 그는 “헬리코박터
균은 위염ㆍ위궤양의 원인이 되는데, WHO는 1994년 이를 발암 인자로
규정했다. 음식을 함께 먹는 습관을 통해 균이 옮겨갈 위험이 있다”고 했다.
국내에는 위암 조기 검진을 통해 일찍 발견되는 환자가 많다. 위암은 위를
모두 잘라내는 전 절제수술, 조기 위암이어서 암이 생긴 부분만 잘라내는
부분 절제 수술 등으로 치료한다. 이들 수술은 모두 복강경 수술로도 할 수
있다. 복강경으로 수술하다가 암이 생각 보다 크거나 수술이 쉽지 않을 땐
바로 개복 수술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 교수는 “수술 권고안을 보면, 위 하부 수술은 복강경이 회복도 빠르고
좋다고 돼 있다. 다만 위 전 절제수술이나 진행성 위암 수술은 복강경 수술에
숙련된 의사에 한해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고 했다.
국내 조기 위암 환자는 수술 후 생존율이 90%를 넘는다. 전체 위암 환자
생존율도 70% 이상으로, 수술 후 환자의 삶의 질이 점차 중요해 지고 있다.
복강경 수술은 개복 수술 보다 환자 삶의 질을 더 높일 수 있다.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합병증을 조심해야 한다. 위를 모두 잘라내면,
위가 없어지기 때문에 음식을 많이 먹지 못한다. 빈혈 부작용도 많이 호소
한다. 위가 없으면 철분과 비타민 B12가 제대로 흡수되지 않기 때문이다.
환자의 90% 이상이 빈혈을 호소한다는 통계도 있다. 이 때문에 조기 위암
이고, 위 상부에만 암이 있는 환자는 위의 위 쪽만 잘라내기도 한다. 위
아래